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
https://jeju43peace.or.kr/kor/sub01_01_01.do624쪽
2003년 12월 15일
이 진상조사보고서는 ‘제주4·3특별법’의 목적에 따라 사건의 진상규명과 희생자·유족들의 명예회복에 중점을 두어 작성되었으며, 4·3사건 전체에 대한 성격이나 역사적 평가를 내리지 않았습니다. 이는 후세 사기들의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이 보고서가 ‘4·3특별법’이 제시하고 있는 인권신장과 민주발전, 국민화합에 이바지함으로써 미래로 나아가는 소중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서문>
제주4.3추가진상조사보고서(20200731).pdf
제주43평화재단
https://jeju43peace.or.kr/kor/sub01_01_01.do718쪽
2019년 12월
제주4·3사건 추가진상조사는 2003년 정부가 확정한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의 미진한 분야에 대한 보완적인 추가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피해실태를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추가진상조사서I은 마을별, 집단학살 사건, 수형인 행방불명, 예비검속, 교육계, 군인·경찰·우익단체의 구체적인 피해실태와 행방불명 희생자 유해발굴을 다루고 있습니다.
제주43평화재단
https://jeju43peace.or.kr/kor/sub01_01_01.do77쪽
2016년 4월
이 책자의 자료는 정부에서 발행한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2003)의 내용과 이 보고서 발행 이후 보완된 자료들을 간추려 정리했습니다. 자료의 갈증을 해소하고 믿을 수 있는 4·3자료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제주43평화재단
https://jeju43peace.or.kr/kor/sub01_01_01.do47쪽
'머우꽈'는 표준어 '무엇입니까'의 제주도어 표현입니다. 본 자료집은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가 발행하였으며 현재 동의를 얻어 제주4·3평화재단이 제작·배포하고 있습니다. 제주4·3을 알기 쉽게 풀어 쓴 입문서로서 본 자료집이 제주4·3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제주43평화재단
https://jeju43peace.or.kr/kor/sub01_01_01.do52쪽
2021년 10월
제주4·3평화공원은 제주 사람들의 기억투쟁의 결정체입니다. 공원의 핵심시설인 제주4·3평화기념관은 오랫동안 금기시되어온 4·3을 담은 진실의 그릇입니다. 지하 1층에 마련된 상설전시실은 4·3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게 꾸며졌습니다. 본 자료집이 4·3전시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