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단체소개
강사소개
정보방
공지사항
세계시민교육 "하이"
/
활동소개
세계시민교육 "하이"
/
활동소개
HOME
단체소개
강사소개
정보방
공지사항
📢
활동소개
리스트 보기
Search
강사회원은 누가 가입하나요?
세계시민강의를 하고 있는데 단체에서 정한 이야기말고 내가 직접 구상해보고 싶다면?!
학교에서 교육자로서 이미 활동하고 있는데 직접 세계시민이야기를 학생들과 하고 싶다면?!
좋은 교안을 제안했더니 이게 한 단체의 교육안으로 써져버리네, 내 이름을 돌려둬!!
교구재를 개발하고 싶은데 초기에 돈도 없고, 진짜 만들면 좋을지 말지 고민이 된다면?!
개인적으로 능력은 있는데 개별적인 강의활동을 원하는데 루트가 없다면?!
더 좋은 강사가 되기 위해 계-쏙 공부하고 발전해가고 싶다면?!
얼른 얼른 신청하세요!!
회원가입신청
회비는 '을-마면 되니?'
가입비 5만원
+ 월 1만원의 회비가 있습니다. (회비는 연단위로 내셔야 합니다.
뭐가 좋은디, 돈까지 내고 가입하나?
열심히 정보를 모으고 사이트도 만들었는데 이거 공짜로 보기 안 민망한가
후원이라도!
여기에 공개되지 않은 더 많은 정보가 클라우드 속에 있습니다
온라인에서 꾸준하게 그 시기에 맞는 이슈들을 함께 공부할 수 있습니다.
강사로 이름을 올리고 공개홍보를 통해 강의를 직접 연락배정받을 수 있습니다.
강사회원을 상시모집합니다.
신청링크
https://forms.gle/M45QnrDL4aQQ6uDH6
이후 계획 (이후 교안개발까지 함께 하실분은 회원강사만 가능하여요-!)
•
4월 중 관심있는 회원모집
•
5월 온라인 공부
•
6월 교안 전체적 기획 및 차시별 담당정하기
•
7월-8월 세부 차시별 교안짜기
•
9월 강의시연
동아시아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공부모임
"우리는 모두 세계시민", 세계시민교육강사협의회를 만나다
[인터뷰] 'hi세계시민교육강사협의회' 성은경 대표... 국가와 인종 경계 넘어서는 세계시민교육
김효진
(kozy224)
등록 2022.08.17 14:51수정 2022.08.17 14:512 0
서울시NPO지원센터 2층에 마련되어 있는 “협업공간 엮다”는 활동을 위한 기반인 공간을 지원해 NPO와 활동가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지원합니다. 2022년 ‘협업공간 엮다’에 입주팀으로 선정되어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개인/단체들을 인터뷰하였습니다.
"hi세계시민교육강사협의회가 세계시민교육를 실시하는 강사들에게 구심점이 되고 싶어요. 그리고 더 나아가 나중에는 세계시민교육에 관심있는 사람들도 포용할 수 있는 단체가 되길 꿈꿔요." (성은경 대표)
'hi세계시민교육강사협의회'는 세계시민교육강사들이 모여 서로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고, 세계시민교육강사들의 구심점 되고자 노력하는 단체입니다.
올해 협의회는 세계시민교육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교육을 통해 세계시민의 개념이 이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새로운 '동아시아 세계시민교육'과 '그림책으로 만나는 세계시민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지난달인 7월 27일, 서울시NPO지원센터에서 'hi세계시민교육강사협의회'의 성은경 대표를 만났습니다.
▲ 인터뷰를 하는 hi세계시민교육강사협의회 성은경 대표의 모습 ⓒ 서울시NPO지원센터
•
협의회 소개와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hi세계시민교육강사협의회 대표 성은경입니다. hi세계시민교육강사협의회는 2017년에 소모임을 시작으로 '개발협력협동조합 BINGO'의 세계시민교육팀을 거쳐, 2022년 hi세계시민교육강사협의회(이하 협의회)가 되었어요.
단체명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드리면, 단체명의 'hi'는 글자 그대로 인사 그리고 서로를 존중한다는 의미와 함께 'h'는 의자(자리) 모양을 형상화하여 참여자를 환대한다는 의미를 나타내고, i는 나부터를 의미해요.
오마이뉴스 “세계시민교육강사협의회를 만나다”
1.
프로젝트 배경
2.
프로젝트를 통한 목적
3.
프로젝트 내용
4.
5.
6.
•
4 - 도구들은 모두 로지나 서당에 기증하고 옴. 세계시민연구모임과 로지나 서당과의 네트워크 구축은 성공함, 다만 고려인 문화센터와의 만남은 성공적이지 못했음.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음. 첫째, 워낙 많은 한국인 단체와 기관들이 고려인 문화센터와의 만남과 행사진행을 원하기 때문에 현지 교육프로그램 담당자는 그것조차 감당하는 것이 어려운 지경, 때문에 새로운 프로그램에 대한 갈증이 전혀 존재하지 않음. 둘째, 고려인 문화센터 내 한글학교 선생님들의 프로그램 자율성이 제한되어 있음. 때문에 강사 자 신이 원한다고 해도 자유롭게 시도하기는 어려운 환경
•
로지나 서당 아이들의 관점전환의 계기
•
게임과 활동을 통해 교육을 한다는 것에서 재미를 발견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줌. 정답이 없이 각자의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것을 초반에는 어려워했지만 점점 자연스러워짐. 우리가 다양 한 모습으로 지구라는 한 공간에서 살고 있고, 다른 것 같지만 똑같은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알면서 ‘멀리 있는 지구’에서 ‘내가 살고 있는 지구’로 지구를 보는 시선이 변화함. - 그동안 본인이 몰랐던 세계의 다양한 이슈들을 접하면서 놀라기도 하면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함. 서로의 소감을 나눌 때 가장 많이 나온 이야기들이 바로 이 점이었음. 또한 그 동안 생각해보지 않 았던 인권, 평화 등에 대해 나의 일상에서 진지하게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고 애기함. - 단순히 국가, 지역을 떠나 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어떤 자세를 가지고,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지 고민하겠다는 의견도 많았음
•
아이들의 의견들을 종합해서 키워드로 정리하자면 “계기”, “세계”로 축약할 수 있음. 이를 토대로 볼 때 아이들의 관점전환의 계기로써 세계시민교육이 역할을 했다고 생각됨. 3. 변화를 만들기 위한 활동
•
7 -
고려인과 함께 하는 세계시민교육 캠프
3개국세계시민교재개발